01. 과거의 우리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낙후된 조치원 지역을 균형 발전시키고자 시작된 '청춘조치원프로젝트' 2025년까지 인구 10만 명이 살 수 있는 도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현재 총 77개 사업 중 47개 완료, 30개 사업을 추진 중이며, 그중 동서연결도로 건설사업에 대해 이번 호에서 이야기해 봅니다. - 박영수 도시재생 시민기자 02. 현재의 우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인협동조합의 노력 옛 포목점거리와 번화가길의 재현, 옛 전통놀이와 교복&루프탑 체험까지, 세종전통시장 안에 숨겨진 보물같은 장소에 방문해보세요. - 이예랑 도시재생 시민기자 전기(Electricity)+자전거(Bicycle)=일레클(Elecle) 민간 공유 전기자전거 일레클, 세종 시내 곳곳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어요. 세종시는 자동차보다는 도보중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도록 계획된 도시이기에 환경친화적인 대중교통수단의 확대가 더욱 중요해요. - 김수정 도시재생 시민기자 03. 함께하는 우리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시 😊 세종시의 청년들이 청년 문제를 직접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직접 발굴&제안하는 청년 주도 정책 네트워크 2기가 지난 6월 17일 출범했어요. 세종청년정책네트워크 2기 회장님을 만나 운영계획 및 활동 목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 양태혁 도시재생 시민기자 벽화마을하면 어디가 바로 생각나세요? 대부분 통영이나 부산 감천마을을 떠올리겠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조치원에도 벽화로 꾸며진 문화마을이 있어요. 주민들이 한땀 한땀 붙인 아기자기한 타일 벽화와 문화공간이 함께하는 곳, 평리 & 조치원 문화정원 방문기! - 김민정 도시재생 시민기자 훌륭한 생태축이자 자연이 주는 교육 장소 도시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환경, 경제, 사회가 조화를 이루어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야 해요.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도 중요하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된 생태환경 보호의 중요성은 두말할 것도 없지요. 세종시의 소중한 천혜자연 '방축천', 그 가치에 대해 기사를 통해 알아볼까요? - 정필주 도시재생 시민기자 04. 읍면 이야기 도농복합도시인 세종시 🌲 신도심 인구는 날로 늘어가고 있지만, 읍면지역은 인구유입률과 정주율이 낮아 지역 초등학교 아이들의 수도 급격히 줄고 있죠. 알고보면 더 머물고 싶은 우리 마을을 구석구석 살펴보기 위해 전의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생 친구들이 마을 둘러보기와 보물찾기 체험을 진행했어요. - 윤혜란 도시재생 시민기자 05. 현장은 지금 볼거리 추천드려요 🧾 [왕성극장을 위하여] 두 번째 공연 - 2000년 대 초반까지 조치원에 존재했던 지역영화관 ‘왕성극장’을 다시 만들기 위해 집념과 염원을 담아 고전영화OST와 함께하는 공연을 시작합니다 - 일시: 21년 7월 17일(토) 16:00 장소: #조치원문화정원 야외뜰 티켓: #무료 참여자 모집 🖐 우리동네 도시재생,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 #세종도시재생TV #유튜브채널 도시재생뉴딜 청년인턴 센터 상륙 👀 ![]() 🙋 이영재 도시재생뉴딜 인턴 도시재생의 시작은 주민분들과의 소통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민분들과 소통하며 원도심의 회복을 위해, 살고싶은 도시 세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 곽예서 도시재생뉴딜 인턴 도시재생은 지역 사회의 관심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도시재생 사업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을지
또한 우리 지역의 마을 주민들이 원하는 도시재생 모습은 어떤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해나가는 인턴이 되겠습니다! 30033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군청로 87-16 (구 의회청사 2층) 대표전화 044-868-0534 혹시 이제 그만 보고 싶다면 수신거부 Unsubscribe 를 눌러주세요. 서운해하지 않을게요! '함께 그리고 공동체' 공유하기 함그공을 좋아할 지인들에게 뉴스레터를 공유해주세요. 도시재생지원센터의 다른 채널들 아직도 구독을 안하셨다구요? |
<알려드릴게요, 도시재생> 세종시 도시재생 활동소식을 알려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