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 도시재생소식지 2021년 6월호 (vol.61) 01. 과거의 우리 1905년, 조치원에 역이 들어서면서 철도교통의 요충지가 되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동쪽(역 앞)과 서쪽(역 뒤) 동네간의 교통은 오히려 불편하게 되었습니다. 역 뒤쪽은 교통이 불편하고 낙후되어 '철뚝너머' 동네라고 불렀답니다. 시민기자가 들려주는 그 시절의 철뚝너머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박영수 도시재생 시민기자 02. 현재의 우리 ![]() ![]() ![]() 약 70년간 조치원의 무수한 인재들을 배출해낸 조치원중학교가 5월 17일 새로운 도약을 위해 보금자리를 옮겼습니다. 조치원의 미래 주역들이 거쳐가게 될 조치원중학교에 대해 소개합니다. - 이상훈 도시재생 시민기자 03. 미래의 우리 ![]() 매년 대기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 510억톤, 배출량은 가속화되고 있고 이 추세로 보아 2040년에는 기온 상승이 2도를 넘으리라 전망합니다. (2019.5. '기후와 관련된 잠재적 안보 위협', 호주 국립기후복원센터 정책보고서) 사람도 정상체온에서 1도를 넘으면 미열이 발생하고 1.5도를 넘으면 고열로 치료를 받아야하죠. 우리에게 닥친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중립 실천은 꼭 지켜야할 모두의 의무가 되었습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세종시민 기후 행동 선언을 통해 우리들이 실천할 수 있는 행동들을 살펴봅니다. - 이하진 도시재생 시민기자 04. 함께하는 우리 ![]() 여러분은 환경을 생각하며 어떤 실천을 하고 계신가요? 세종시에서는 '시민이 주도하는 플라스틱 Free 확산 캠페인' 을 비롯한 환경보호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양태혁 도시재생 시민기자 ![]() 평범한 사람도 메이커가 되는 곳 '메이커스페이스'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이 공간은 제조와 창작을 위한 장비와 시설이 마련된 열린공간입니다. 세종시민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도시재생 시민기자가 직접 참여해봅니다. - 인장교도시재생 시민기자 05. 읍면 이야기 ![]() 06. 현장은 지금 ![]() '한 아이가 자라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세종시 교육청 주관의 '세종마을학교' 시범사업을 전의면에서 진행했어요. 우리 아이들이 마을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 윤혜란 도시재생 시민기자 읽을거리 추천드려요 🧾 참여자 모집 🖐 세종시 소식이 궁금해요 👀 #세종도시재생TV #유튜브채널 제15기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재생대학교 수료식 27개팀 304분이 신청, 25개팀 225분이 수료하였습니다. 무사히 수료를 마치신 모든 분들 축하드립니다 ^^ ![]() 30033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군청로 87-16 (구 의회청사 2층) 대표전화 044-868-0534 혹시 이제 그만 보고 싶다면 수신거부 Unsubscribe 를 눌러주세요. 서운해하지 않을게요! '함께 그리고 공동체' 공유하기 함그공을 좋아할 지인들에게 뉴스레터를 공유해주세요. 도시재생지원센터의 다른 채널들 아직도 구독을 안하셨다구요? |
<알려드릴게요, 도시재생> 세종시 도시재생 활동소식을 알려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