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7일 전의 이야기센터에서「거점기능 활성화를 위한 특화자원 발굴 용역」최종보고회를 진행하였습니다! 농촌사업과 도시재생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을 대상으로 전의면이 가지고 있는 인문, 사회, 역사, 문화 등 다양한 생활자원과 주민수요조사를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사업 및 주체 발굴의 근거마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조사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기능으로 로컬푸드 간이매장, 청소년 작업장, 중장년을 위한 커뮤니티 펍, 청년커뮤니티 공간, 공동육아, 모셔 오는 문화·목욕탕, 다문화 커뮤니티 공간, 묘목산업지원센터, 청년창업센터, 공공주택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기능을 거점시설 기능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진단해보았습니다.
2023년이 거점시설 조성 및 운영 준비를 위한 기간이라면 2024년은 거점기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해입니다. 세종시청, 주민공동체와 더불어 도시재생지원센터도 연계 및 지원을 통해 전의면 뿐 아니라 타 읍면지역 활성화를 위해 더욱 노력할 예정이오니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주민 공동 이용시설 활성화를 위한
2023 민ㆍ관합동 워크숍 in 제주
2023년 11월 29일(수)~12월 1일(금) 2박 3일 동안 세종시 지역균형 발전과와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그리고 거점시설 운영주체가 함께 제주도로 민·관 합동 워크숍을 다녀왔습니다! 이번 워크숍의 주제는 <주민공동이용시설 활성화 방안 마련>이었습니다. 2박 3일간의 제주도 워크숍 함께 살펴 보실까요?
제주도 도시재생지원센터와 함께 센터 공간 및 시설을 둘러본 뒤 제주책방, W360 등 거점시설 라운딩을 진행하였습니다. 제주도 도시재생 사업과 거점시설 운영 현황 그리고 사후관리 조례 관련한 제주도 도시재생 사례를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워크샵에 참여한 시청, 도시재생지원센터, 시설운영 관계자들이 함께 <세종시 거점 시설 현황 및 운영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워크샵을 진행하였습니다.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된 워크샵을 통해 각 거점시설별 이슈와 애로사항을 알 수 있었고, 거점시설 사후관리 추진 방향에 대해 참여자간 심도있는 의견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로컬의 거점시설, 알려드릴게요
세종시 원도심에는 다양한
로컬의 거점시설과 운영주체들이 있습니다.
12월에는 침산 커뮤니티센터와 운영주체들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소식을 알려드릴게요!
🏕️
침산리 커뮤니티센터
침산추월 캠핑체험 카페
조치원 침산리에는 <커뮤니티센터:침산추월>이 거점공간으로 운영되고있는데요. 주민들의 커뮤니티센터이자 캠핑카페&캠핑장으로 운영되고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사회적협동조합을 구성하여 운영 중인 거점공간으로 지속가능한 시설운영을 위해 지역자원을 활용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자립형 수익모델을 만들고자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11월부터 거점시설을 운영중인 운영주체 3개소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마케팅 컨설팅을 진행하였습니다. 고연령의 운영자들에게는 익숙치 않은 분야라 시설별로 맞춤 컨설팅을 진행했습니다.
첫 컨설팅 때는 온라인 마케팅이 낯설기도하고 활용과 이해에 다소 어려움을 느끼셨지만, 집중도 있는 컨설팅과 적극적인 운영주체의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주도적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갔습니다.
네이버, 인스타, 당근 마켓에 올라온 고객들의 리뷰와 댓글의 반응을 보면서, 온라인 홍보의 중요성에 대해 점차 공감하시고 더 많이 배워 활용하시려는 적극적인 모습도 볼 수 있었답니다! 지역 주민들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거점시설을 홍보하고자 진심으로 임하는 운영주체들의 노력이 엿보이는 시간이었습니다.
📢
공지 및 홍보
센터의 다양한 소식과 행사를 알려드려요.
<센터 인스타그램 팔로잉 이벤트>
2023년 한해 동안 인스타그램을 통해 많은 분들께서 센터 사업과 활동에 참여해주셨습니다! 2024년에는 더 많은 분들께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소식과 활동을 전달해드리고자 인스타그램 팔로우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해주신 분들 모두 참여가능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한 카드뉴스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