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가 만들어가는 도시재생 소식지 Vol.72 _ 2022 May 04
함께 그리고 공동체
함께그리고공동체는 시민기자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취재한 기사들로 구성된 세종시 도시재생소식지입니다. |
|
|
|
ㅣ 류다예 도시재생지원센터 교육기획팀
25개의 팀, 269명의 수강생들이 함께한 10주간의 도시재생대학 교육과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제17기 도시재생대학교의 마지막 주간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소개해 드립니다!
#001 도시재생대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 팀들을 소개합니다! 지금 우리학교는?
지난 호에 소개했던 '지금 우리 학교는?'은 도시재생대학교에 참여한 팀들을 소개하는 영상으로, 매주 금요일 16시, 유튜브 채널 「세종도시재생TV」에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19로 대면을 최소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25개 팀 모두가 서로의 교육내용을 알 수 없기에, 팀 소개 영상을 통해 조금이나마 유대감을 가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제작되었습니다. ➡️ 지금 우리학교는? 📺바로보기
#002 제17기 도시재생대학교 수료식을 위한 축하공연
제17기 도시재생대학교 수료식이 5월 7일(토) 오후2시~3시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함께’의 가치를 실천하며 배운 교육 내용들을 공유하고, 8주 동안의 교육과정 수료를 축하하며, 펀딩대회 우수 팀을 발표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예요.
수료식을 축하하기 위해, 음악을 통해 도시재생을 알리는 중창단 '더 비기닝팀'은 ‘아름다운 나라’를 부르며 조치원동서연결도로, 청춘관, 조치원역, 조치원문화정원, 조치원읍 일대를 보여주는 뮤직비디오를 제작했고, 소리를 사랑하는 주민들이 모인 '소리사랑팀'은 흥보가의 놀부가 심술을 부리는 대목과 아리랑을 부르는 모습을 촬영 완료했답니다.
|
|
|
|
#003 걷고! 듣고! 배우는 도시재생입문팀의 선진지 견학
세종형 도시재생대학은 각 팀별 특성에 맞도록 시간·장소 답사지를 선정하여 견학을 다녀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설립준비모임팀은 시설 및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주시립도서관으로, Respeect팀은 업사이클링 제품 견학을 위해 대구 한국코르크전시관으로 견학을 다녀왔어요. 이 외에도 많은 팀들은 용인, 청주 등 각 팀의 목표에 맞춰 선진지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
|
|
|
👇5월 7일 토요일 14:00!! 도시재생TV를 통해 제17기 도시재생대학 수료식에 참여하세요!! |
|
|
|
도시재생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은 해마다 상반기와 하반기 두 번,
기초, 심화 1, 2, 3의 총 4단계를 거쳐 도시재생 현장에서 활동하는 인재를 배출해 내는 과정으로,
세종시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6년부터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을 진행해 총 199명이 이 과정을 이수했다.
도시재생 현장의 순간순간을 새겨 나가고 있는 도시재생 코디네이터들은 오늘도 분주하다.
이들의 선순환적 궤도를 도시재생 시민기자단의 눈을 통해 들여다보았다. |
|
|
|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
노정섭 코디네이터
X
글.사진__곽은주 도시재생 시민기자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조치원 중심시가지 센터에서 메이커스페이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과 목재를 소재로 하여 제작한 물품들을 실용화시키고 지속 가능하게 하고자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장지원센터 주민공동체 사업으로 목재 가공 시설과 인력을 구축, 운영하고 시제품을 제작판매하고 있지요.
또한, 홍익대 조형학부 학생들과 목재를 소재로 디자인을 하는 청년들의 제품 제작과 지역 마을 단위의 일들을 수시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Q. 현재 활동하는 내용에 대해
주민공동체 사업은 국토부 뉴딜사업에 선정돼 기업용 규모의 대규모 시설을 갖추어 전문 시설 장비를 교육장비로 쓰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주민조직 1팀과 대학생 2팀이 운영되고 있고 주민공동체는 국립세종수목원에 목공예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제품을 판매할 지역 수요처를 늘리고 온라인을 통해 전국으로 확장해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청년 사업은 홍익대 조형학부 디자인 졸업생과 재학생 1천 명 정도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업 2팀이 활동 중이고 신규팀도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주로 디자인의 상용화로 클립터, 키링 등 생활용품들을 생산하고 이익이 발생하면 참여자들에게 배분하고 있습니다.
Q. 코디네이터 교육 수료 기간이 2년 이상 되는데 끝까지 수료한 이유가 있다면?
코디네이터 교육의 장점은 교육을 통해 코디네이터라는 개념이 정의되고 확립되지요. 그 과정을 통해 실체를 갖게 되었습니다. 물론 교육 후 제 직업도 바뀌게 되었고요. 코디네이터는 새롭게 생겨난 직종입니다. 물론 기관과 현장 사이의 중간자로 스트레스도 있고 끝없는 자기 고뇌와 딜레마 속에서 살지만 확실히 보람이 있는 직업입니다.
Q. 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코디네이터는 주민들의 삶이 걸린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중간자이고 이것은 코디네이터의 역량에 의해 결정된다고 봅니다. 때로는 죽어라 열심히 해도 어려운 일들이지만 해볼 만한 기대치가 분명히 있습니다. 딜레마가 있을 때도 내가 코디네이터라는 개념을 갖고 있으면 개인적인 의견으로 행동하지 않고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결정을 하게 될 거라 믿고 있습니다. 그 객관적 관점을 갖게 하는 것이 도시재생 교육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
|
|
코디네이터 인터뷰는 계속해서 이어져, 7월에 청춘관에 전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
|
|
|
집 근처 근대유산 탐방기 #03
객원 에디터 ㅣ PAL 문화유산센터 장동우 |
|
|
|
지금은 사라진 것들 : 금융조합, 1921
#세종시근대문화유산
'지금은 사라진 것들'은 과거의 지도 로드뷰나 스카이뷰 등으로만 찾아볼 수 있는, 지금은 남아있지 않는 조치원의 근대유산들을 다루는 꼭지입니다. 대략 5~10년 전으로 돌아가 시간 여행을 하다 보면, 조치원 구석구석에는 근대 건축물들이 정말로 많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로드뷰로 보이지 않는 것들까지 합하면 훨씬 더 많았을 것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근대 건축물은 일제강점기 당시의 금융조합(1921)입니다.
|
|
|
|
| 북부학교지원센터
#교육자원지도개발 #다문화 맞춤 지원 등 성과
ㅣ 장석춘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조치원 제2복합커뮤니티센터 준공
#생활편의 #도서관 #수영장 #도시재생
ㅣ 박영수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
| 집현전에서 우리 말과 글 들여다보기
#세종책문화센터 ㅣ 양유정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전의면 꽃길, 함께 걸어요
#전의면주민자치위원회 ㅣ 윤혜란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
| 마을 야영장, 침산추월을 다녀오다
ㅣ 김수정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세종시 전동면 신송리 베어트리파크를 찾아서
ㅣ 박희숙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
| 연서면 관광명소, 고복자연공원
#읍면문화자원 ㅣ김민정 도시재생 시민기자 |
|
|
|
🕹️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홍보를 원하는 공동체, 지역단체는 센터로 홍보자료를 보내주세요! 매월 뉴스레터에 게재해 드립니다.
세종시 행사
|
|
|
|
30033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군청로 87-16 (구 의회청사 2층) 대표전화 044-868-0534
혹시 이제 그만 보고 싶다면 서운해하지 않을게요! |
|
|
|
'함께 그리고 공동체' 공유하기
함그공을 좋아할 지인들에게 뉴스레터를 공유해주세요.
뉴스레터는 매월 5일, 1회 발행됩니다 |
|
|
|
|